GTX 개통 후 서울 수도권 집값
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 정책

GTX 개통 후 서울 수도권 집값

반응형

GTX 개통 후 서울 수도권 집값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오늘은 재밌는 기사를 하나 읽었습니다. 수도권 광역 급행철도인 GTX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사실 GTX에 대한 이야기는 예전부터 계속 나오고 있는 이야기입니다. 이 열차는 정말 파급적인 열차라서 개통이 되면 과연 서울 집값과 수도권의 집값은 어떻게 될지 하는 전망입니다.

 

 

 

먼저 GTX에 대해서 정확히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GTX는 수도권 외곽에서 서울 도심의 주요 거점을 연결하는 수도권광역급행 철도로, 현재 A B C 이렇게 3개의 노선이 추진이 되고 있습니다.

 

 

그 사업의 시작은 2007년 경기도가 국토부에 제안해서 추진되게 되었습니다. 기존 지하철은 지하 20M 내외에서 움직이면서 40~50킬로 속도로 움직이는 것을 지하 40~50M까지 내려서 시속 200KM의 속도로 움직이는 열차입니다.

 

 

이런 GTX의 먼저 노선을 알아야겠습니다.

 

 

A노선은 경기도 파주에서 경기도 화성시 동탄을 잇고, B노선은 인천 송도에서 경기도 마석역 잇고, C노선은 경기도양주에서 경기도 수원까지 오는 3개의 노선입니다.

 

 

이것은 지금 서울 도심으로 출근을 하는 것을 생각해보면 그 효과와 파급은 정말 어마어마 할것입니다. 출근인들의 출근시간이 단축이 되고 그로인해서 개인 삶의 질이 많이 나아질것이고, 질적으로나 양적으로나 장점이 너무 많은 사업입니다.

 

 

 

 

 

 

먼저 GTX A 노선입니다.

 

파주 운정에서 일산 삼성역 용인 그리고 동탄까지 오는 총길이 83.1KM의 사업입니다. GTX A노선은 먼저 파주운정- 삼성역까지의 구간은 수익형 민자 사업으로 2018년 4월 신한은행 컨소시엄이 우선 협상대상자로 선정이 되었고, 삼성역 - 화성 동탄역 구간은 정부의 재정으로 공사가 진행되게 됩니다.

 

다음은 GTX B 노선입니다.

 

경기도 남양주시 화도읍~ 서울 중구 영등포구 구로구 그리고 부천을 지나 인천 송도 신도시까지 이어지는 노선으로 총길이는 약 80KM의 사업 노선입니다. 현재 마석역과 송도역까지 총 13개의 역이 계획되어있습니다. 이 노선은 송도에서 청량리까지 노선으로 추진이 되다가 사업성이 떨어져서 예타를 통과하지 못하다 청량리에서 마석까지 이어지는 노선이 예타 통과를 하면서 공사가 확정되었습니다.

 

 

다음은 GTX C 노선입니다.

 

경기도 양주에서 수원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총길이 74KM의 사업구간입니다. 당초 노선은 의정부에서 출발하는 것이었지만 사업성이 떨어져서 양주로 옮기면서 사업성을 확보에서 예비타당성을 통과 하였습니다.

 

 

 

 

 

이런 사업이 이제 A노선은 작년 착공에 들어갔고 얼마전에는 잠시 멈춰있던 공사를 진행하라는 법원의 판결이 있었습니다. GTX의 노선이 서울 중심을 통과하는것이 그 위에 사는 사람들의 위험성도 있고 해서 노선을 바꿔야 한다는 행정심의였습니다. 하지만 법원의 생각은 그렇게 위험하다는 생각은 하지 않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런 GTX는 과거 KTX가 생기면서 서울에서 부산까지 반나절 생활권을 가능하게 했던것을 생각해봤으면 합니다. 지금도 기억이 나는것이 개통을 하는날 방송 리포터들도 탑승을 해서 서울역에서 출발해 부산으로 가는 것을 보여주면서 방송을 했던 것이 기억이 납니다. 그리고 서울에서 부산까지 기차로 그렇게 빨리 가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정말 신기했습니다.

 

 

생활의 판도를 바꾸는 KTX였습니다. 그럼 GTX는 어떨까요? GTX는 인천,경기도 권에서 서울로 출퇴근을 하는 사람들에게 정말 최고의 교통수단이 되어줄 것은 확실합니다. 그렇게 되면 지금의 지하철 노선의 정류장보다는 GTX정류장과 가까운 주거공간은 더욱 품귀현상이 일어날것입니다. 그것은 당연한거겠지요. 다른 위치에 있는 지역보다는 상승률이 높을 것은 확실할것입니다.

 

 

한 예로 영국의 크로스레일을 보겠습니다. 크로스레일은 영국의 GTX라고 보시면 됩니다. 공사는 2009년 착공을 해서 2017년 개통을 목표로 했지만 공사일정이 좀 미뤄져서 2021년쯤 여름에 개통 예정입니다. 총 길이는 118KM이며 정거장은 41정거장입니다.

 

 

그럼 영국의 크로스레일 개통 예정으로 인근 지역의 집값은 어떻게 달라졌을까요? 크로스레일의 주변 평균 집값은 2년사이에 약 22% 상승했다고 합니다. 이는 런던의 평균 집값 상승률 14%보다 약 8%가 높은 수치였다고 하는데요.

 

 

결국 우리나라도 GTX 개통에 대해서는 그 주변 부동산 값은 상승할것입니다. 더군다나 우리나라는 인구도 양극화가 심하고 부동산시장도 양극화가 심합니다. 인구의 절반이 서울과 인천 경기도 지역에 살고 그 비율중 상당수는 서울로 출퇴근을 하고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실제 부동산 가격을 움직이는 요인중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바로 교통이기도 합니다. 그런 교통적인 요인에서 앞으로 개통하게될 GTX는 최고의 수도권 교통호재일것입니다.

 

 

영국의 사례를 보면서 수도권 GTX개통이 되었을때 인근 역의 집값이 어떻게 될지 정확히 말할수는 없습니다만 GTX개통이 앞으로 우리 수도권에 사는 국민들의 생활판도를 바꿔줄것은 확실하기 때문에 미리 좋은 입지에 거주를 하게 된다면 좋은 일이 반드시 있을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