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TX 노선 따라서 집값 다시 오른다
안녕하세요 !! 친절한 상추입니다 ::)) 그리고 투자자에요 !!
국토교통부 장관이 바뀌고 설 전에 부동산 추가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날짜가 2월 5일 발표될 것이라고 예상을 하고 있는데요.
문재인대통령께서 올 초에 시장의 예상을 웃도는 공급대책을 발표할 것이라며 이미 이야기를 해놓은 상황입니다.
그래서 잠시 부동산 시장은 조용한 것으로 보이나, 실제 상황은 그렇지 못한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미 시장은 용적률 상향으로 최대 700% 역세권 개발이 될것이란 뉴스로 서울 역세권 중심 빌라나 다가구 주택의 가격이 상승하며 오르고 있습니다.
그래서 서민들에게는 이제 서울에서 내집마련은 이미 먼나라 이야기가 되어보리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토지환매부, 지분적립형 분양주택, 공공자가 주택의 개념이 도입될 것이란 전망으로 또 부동산 시장이 연일 시끄럽습니다. 결국 내것이지만 또 내것이 아닌 주택이라고 여겨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지금 현재 부동산 시장은 어떻게 변하고 있을까요?
수도권을 중심으로 서울 집값이 다시 꿈틀거리고 있습니다.
규제지역을 연일 확대하다 보니 이제는 서울과 인천 경기도 수도권의 대부분 지역이 조정대상지역이나 투기지역으로 묶여버리는 결과를 낳았습니다.
규제의 규제를 더하니 결국 시장은 다시 서울로 시장의 풍부한 유동성이 모이는 모양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수도권의 대표적인 교통호재라고 할 수 있는 GTX 노선 따라서 다시 집값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최근 안산 상록구에 호재가 발표가 되면서 몇일만에 호가가 2억이 올라버리는 기사를 본적이 있으실 겁니다.
전세는 조금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다시 매매가격이 변하고 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입니다.
경기도에서 그동안 조금은 소외되어있던 일산 고양시 덕양구쪽의 상승이 두드러지면서 남양주나 의왕, 양주등 GTX 노선을 중심으로 다시 가격이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그렇다고 지방은 가격이 안오르는 것이냐?
그것도 아닙니다. 지방의 집값도 상승하고 있는데요.
수도권은 0.33% 그리고 지방은 0.25%의 상승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서울도 다시 중심인 강남구와 서초구 그리고 송파구가 가격의 상승을 이끌고 있는 모양입니다.
이미 1월이 아직 남아있는 시점에 전국 집값중 가장 많이 오른곳은 경기도 양주시로 4.86%가 상승하였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고양시 덕양구, 일산 서구, 남양주, 일산동구, 인천 연수구 순이었습니다.
결국 GTX노선을 따라서 다시 한번 수도권 집값의 가격의 판도가 변할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GTX가 개통이 된다면 수도권 외곽 지역에서 서울 중심부로 들어가는 가장 빠른 방법은 GTX일 뿐이기 때문입니다.
이미 시장의 분위기는 지금이라도 집을 사지 못한다면 영원히 살 수 없을 것이란 불안함이 시장에 퍼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도 그런것이 25번의 부동산 대책을 발표하였지만 결국 집값은 더 가파르게 올라버렸기 때문입니다.
이미 시장은 어떤 뉴스든지 한가지 호재만이라도 발표가 되어버리면 몇일만에 몇억이 올라버리는 현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런데 가장 큰 이슈가 현재는 바로 GTX 인것입니다.
GTX는 수도권 광역 철도망으로써 서울 외곽지역에서 서울 핵심 지역까지 30분 안쪽으로 주파할수있는 열차를 말하는데요.
이것이 개통이 되는 것만으로 그 지역의 엄청난 변화를 기록하겠지만 정상적으로 운행을 하면서 사람을 나르게 된다면 이것은 정말 파격적인 시민들의 발이 되어줄 것입니다.
2021년도의 부동산 시장은 공급과 수요의 선을 넘어서 심리가 가격을 이끌고 있습니다. 앞으로 단기간에 지금 상황보다 더 나아질수 없다는 그 심리가 사람들을 패닉바잉으로 만들고 있는 것입니다.
제가 생각하는 사람들의 심리는 공급만으로 가격을 꺾이게 만들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현재의 공급은 사람들이 대부분 누구나 원하는 그런 공급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이 원하는 입지에 원하는 형태의 공급이 된다는 심리를 불어넣어주지 못한다면 사실 시장은 계속 악순환이 나올것이라고 보입니다.
그래서 결국 다시 집값이 뛰어오르고 있는 것입니다.
'부동산 > 부동산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 부동산 대책후 수도권 매매수급지수 (0) | 2021.02.15 |
---|---|
서울 주택 중위 가격 8억원을 돌파 (0) | 2021.02.03 |
변창흠 국토교통부 장관 역세권 용적률 상향 (0) | 2021.01.22 |
2021년 부동산 시장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 (0) | 2020.12.31 |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 5억7천만원 (0) | 2020.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