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부동산 세금' 카테고리의 글 목록 (3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부동산/부동산 세금

비사업용토지 사업용토지로 변경 비사업용토지 사업용토지로 변경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오늘은 사실 어제 포스팅을 했잖아요. 사업용토지와 비사업용토지의 양도소득세요. 그러면서 토지 양도소득세에 대한 포스팅을 했습니다. 양도소득세도 다른 세금과 소득세 구간을 같지만 한가지 차이점은 그 토지의 용도가 사업용이 아닌 비사업용 토지라면 10%의 양도소득세율이 중과가 되게 됩니다. 세율이 16~42%의 세금이 됩니다. 최근 정부에서 부동산 규제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집값을 잡기위해서 각종 규제책을 하면서 조정지역내에서 2주택이상 주택자들에게는 양도소득세를 10~20%까지 중과를 하고 있습니다. 그것과 비슷한 내용입니다. 토지도 마찬가지죠. 말 그대로 토지의 고유 목적을 사용을 하지 않은 상태로 그냥 나대지로 두고 있다가 그 토지.. 더보기
2020년 토지 양도세율 확인 2020년 토지 양도소득세율 확인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오늘은 양도 소득세율중에서 토지 양도소득세율을 한번 알아봤으면 합니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토지도 세율이 똑같이 적용이 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토지에 대한 양도소득세도 중과가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마치 조정대상지역에서 내가 2주택일 경우 하나를 팔 경우 10%의 중과가 되는 것과 비슷한것입니다. 자세히 한번 알아보겠지만 결론을 말씀드리면 토지의 대한 중과는 기본세율에서 10%씩 중과가 됩니다. 그것을 토지의 용도가 비사업용 토지일 경우 중과가 됩니다. 그럼 우린 여기서 하나를 정확히 짚어봐야 할 것입니다. 비사업용지 즉 비사업용 토지란 란 정확하게 무엇을 말하는지 말이죠. 비사업용 토지 .. 더보기
주택임대사업자 자진 신고기간 안내. 과태료 주택임대사업자 자진 신고기간 안내 . 과태료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대부분의 주택임대사업자라면 알고 계실 사항이지만 혹시나 모르는 분들이 계실지 몰라서 알려드릴 것이 있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에 해당이 되는 사항입니다. 사실 월초에 제가 아는 지인의 연락을 한통 받았었습니다. 임대사업자이면서 임대주택으로 등록을 해놓고 세입자와 계약을 하고 임대를 주고 있는데 이 집이 묵시적 갱신이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그 묵시적 갱신 시점이 6개월도 넘었다고 하는 것입니다. 깜박했다기 보다는 다음에 해야지 하면서 미루다가 이렇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때는 참으로 안타까웠습니다. 주택임대사업자는 임대차 계약을 묵시적 갱신 여부와 상관없이 자진 성실 신고를 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주택 임대사업자는 그.. 더보기
2020년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 2020년 종합소득세 신고 납부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5월은 가정의 달입니다. 가정의 행사가 참 많은 달이죠. 1일은 근로자의 날부터 이어지는 연휴에 5일 어린이날과 8일은 어버이날입니다. 그리고 15일은 스승의 날입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5월은 지출의 달입니다. 그중에 하나가 바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하는 달입니다. 저도 오늘 세무서에서 종합소득세를 신고를 했습니다. 주택 임대소득인데 크지 않은 금액이라 작년까지는 비과세였는데요. 하지만 올해부터는 귀속년도 2019년 이죠. 이제 비과세 제도가 끝나면서 주택임대에 대한 소득도 신고를 하고 납부를 하게 되었습니다. 제 이야기는 그만 하고 종합소득세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직장에 다니게 되면 연말정산을 하게 되는데요. 그외에 개인사업자나 프리랜.. 더보기
양도소득세 계산 순서 양도소득세 계산 순서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지난번 양도소득세율 포스팅에 이어서 이번에는 양도소득세 계산 순서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에도 이야기를 했지만 최근 양도소득세에 대해서는 정말 알아야 할 것들이 정말 많습니다. 비과세 거주요건부터 양도소득세 중과까지요. 양도소득세는 현재 세율상 우리는 6% ~ 42%의 양도소득세를 계산 적용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에 양도소득세가 중과가 되면 최대 62%까지 적용이 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양도차익이 5억원이 이상이면서 조정대상지역내 2주택 이상을 가지고 있게 된다면 42% 에서 20% 가 가산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되면 양도 차익이 많아도 정작 수익을 내는 것은 내가 아니라 대한민국 정부가 되는 것이죠. 조금은 안타까운 현실입니.. 더보기
2020년 양도소득세율 정리 2020년 양도소득세율 정리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세금에 관련해서 양도소득세율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양도소득세에 관련해서도 알아야할 사항들이 정말 많습니다. 양도소득세의 계산과정부터 장기보유특별공제율, 그리고 양도소득세 비과세 기준 등 정말 많죠 . 지난번에 장기보유특별공제에 대해서는 한번 이야기를 한적이 있고요. 오늘은 양도소득세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 전에 양도소득세란? 건물이나 토지등 고정자산에 대한 영업권, 특정 시설물에 대한 이용권,회원권,주식이나 출자지분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타의 재산에 대한 소유권을 다른사람에게 넘길 때 생기는 양도차익에 대해 부과되는 세금을 말합니다. 쉽게 말씀드리면 부동산같은 것을 팔아서 이익이 남으면 남은 금액에 대해서 .. 더보기
장기보유특별공제 장기보유특별공제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몇일전 저는 제가 부동산투자를 시작하고 처음 경매로 매입을 했던 부동산을 매도를 하고 양도소득세 신고를 했습니다. 법무사 비용과 부동산 중개비용을 비용으로 인정을 받고 보일러를 교체한 것이 있어서 이것도 비용으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250만원의 기본공제도 받으면서 추가로 장기보유특별공제도 받았습니다. 총 제가 가지고 보유하고 있던 기간이 약 5년 5개월정도가 되면서 10%의 장기보유특별공제를 받았는데요. 그래서 이번에 장기보유특별공제에 대한 내용을 한번 적어야 겠다고 생각을 했습니다. 이런 장기보유특별공제도 지금 조정대상지역내에 있는 부동산을 매도할 경우는 장기보유특별공제가 적용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한시적으로 5월 31일까지 10년이상 가지고 있.. 더보기
부동산 취득세율 정리 안녕하세요!! 친절한 상추입니다. 부동산 투자를 하면서 중요한 것이 참 많이 있습니다. 어떤 것들이 있다고 생각을 하세요? 정말 많은데요. 그중에서 정말 중요한 것중에 하나가 바로 부동산 세금에 대한 부분인거 같습니다. 왜냐하면 세금에 대해 자세히 알아야 내 돈을 지킬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잘못하면 큰 과태료를 맞을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투자자라면 부동산의 세금을 정확히 자세하게 알고 있어야 합니다. 그래야 내 소중한 돈을 지킬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 이번에는 부동산 취득세에 대한 개념과 취득세율에 대해서 정확히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우리가 말하는 부동산의 개념은 법률적으로 움직여 옮길 수 없는 재산, 토지나 건물 수목따위를 말한다고 되어있습니다. 즉 다시 편하게 생각하면 우리.. 더보기

반응형